이 글에서는
[구독 폼] URL 뒤에 그룹 코드를 추가하면 구독자를 그룹으로 자동 분류할 수 있습니다. 스티비 [구독 폼]을 사용해 구독자를 수집하거나 [HTML 내보내기]를 통해 외부 페이지서 구독자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둘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그 사용 방법을 알아봅니다.
목차
스티비 구독 폼을 사용하는 경우
[구독 폼] URL은 아래의 형식으로 생성됩니다.
이 URL 뒤에 아래의 형식으로 "groupIds"(대소문자 구분)라는 파라미터를 추가하면 그룹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groupIds"의 "I"는 대문자 "I"(아이)입니다.)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listid}?groupIds={groupid}
groupid(그룹에 할당된 고유의 아이디)는 아래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소록 목록에서 주소록 이름을 클릭하여 [주소록 대시보드]로 이동
-
[그룹]을 클릭하여 그룹 목록으로 이동
-
[그룹] 이름을 클릭하여 그룹 필터링이 적용된 구독자 목록으로 이동
-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URL에서 'subscribers/S' 뒤의 숫자를 확인
한 번에 여러개의 그룹에 추가하려면, 쉼표(,)로 구분하여 "groupIds" 파라미터를 여러개 추가하면 됩니다. ("groupIds"의 "I"는 대문자 "I"(아이)입니다.)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listid}?groupIds={groupid},{groupid}
-
예: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3?groupIds=44737,44738
이 기능을 사용하면, 제한적이지만, 구독 신청을 받을 때 직접 입력받지 않고도 추가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구독자를 모으기 위해 구독 폼 URL을 여러 채널에 홍보를 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유입 경로별로 그룹을 만들고(예.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블로그"), 동일한 구독 폼에 대해 각 그룹별 파라미터를 추가하여 사용하면, 유입 경로에 따라 각각 다른 그룹에 구독자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HTML 내보내기로 구독 폼을 사용하는 경우
구독 폼을 코드로 내보낸 뒤에, 코드에서 일부 내용을 수정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구독 폼 코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형식의 주소를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이 주소 뒤에 "?groupIds={groupid}" 값을 추가하면 됩니다. (groupid를 확인하는 방법은 도움말 상단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예를 들어 그룹의 아이디가 12345인 경우 아래와 같이 url을 수정하시면 됩니다.
- 예시) groupIds가 12345인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