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필요한가요?
- 보낸 이메일이 계속해서 스팸함으로 분류되는 경우
수신서비스(예: G메일, 네이버, 기업메일 등)에서는 이메일 수신자에게 스팸성 이메일이 발송되지 않도록 자체 스팸 필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필터가 아니더라도 이메일 수신자가 자신의 계정에 설정한 별도의 스팸 필터에 걸리는 경우에도 이메일이 스팸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스팸으로 분류되는 이유는 수신서비스에 따라 다르고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의 이유로 스팸으로 분류됩니다.
발신 주소와 수신 주소를 동일하게 설정했습니다.
테스트로 이메일을 발송하는 경우 발신자 주소(예: dooly@stibee.com)와 수신 주소(예:dooly@stibee.com)을 같은 주소로 설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발송하는 이메일을 의심스러운 이메일로 판단해 스팸으로 분류될 확률이 높습니다.
발신 주소로 사용하는 도메인이 의심스러운 도메인으로 판단됐습니다.
스티비와 같은 이메일 마케팅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발신자 주소의 도메인(ex: user@testdomain.com이라면 testdomain.com)과 실제 이메일이 발송되는 서버의 도메인(stibee.com)이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이 경우 수신서비스에서는 의심스러운 도메인으로 판단하여 이메일을 스팸으로 분류하거나 수신을 차단하기도 합니다. 이 상황을 해결하려면 stibee.com에서 발송한 이메일이지만 내 발신자 도메인 주소(예: testdomain.com)에서 보낸 것이 맞다라는 것을 수신서비스에게 알려주면 됩니다.
수신서비스에게 이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설정을 SPF, DKIM설정이라고 합니다. SPF, DKIM 설정을 해주게 되면 의심스러운 도메인으로 판단되어 스팸으로 분류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도움말 또는 스티비 블로그를 참고해보세요.
*SPF, DKIM 설정은 도메인에 해야하는 설정입니다. 관련 담당자가 아니라면 도움말을 도메인 관리자분께 전달하여 설정을 요청해주세요.
이메일의 제목 또는 내용 등 자체 정책에 따라 이메일을 스팸으로 판단했습니다.
SPF, DKIM 설정까지 마무리했고 발신자와 수신자 주소가 같지 않아도 스팸으로 분류된다면 이메일의 제목이나 내용이 문제가 되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 이메일의 내용이 문제가 아니라도 이메일 수신자가 이메일에 어떻게 반응했는지(예: 오픈, 클릭, 스팸 신고 등)에 따라 스팸으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는 이메일의 내용이나 제목을 수정해보며 스팸함 분류 여부를 테스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스팸으로 분류되는 확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구독자 명단을 주기적으로 정제해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 기준에 따라 주기적으로 이메일 발송 대상자 명단을 관리해보세요.
- 장기간 이메일 오픈, 클릭 기록이 없는 구독자
- 계속해서 이메일 발송에 실패하는 구독자
- 마지막 서비스 방문 기록이 오래된 구독자
- 그 외 자체 기준에 따라 비활성화 상태로 판단되는 구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