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율 개선하기

언제 필요한가요?

  • 이메일 오픈율을 높이고 싶을 때


오픈율이란?

높은 오픈율에 대한 기준은 정해진 것은 없지만, 비슷한 유형의 다른 스티비 사용자들의 평균 이메일 성과와 비교해 보는 것은 가능합니다. 통계 벤치마크를 확인해 보세요.

'오픈율'이란 발송 성공한 구독자 중에서 이메일을 열어본 구독자의 비율입니다. 오픈율은 발송 주체나 구독자 모집 경로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오픈율이 높은 뉴스레터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이메일 제목이 궁금증과 호기심을 유발하는 제목입니다.

  • 주기적으로 뉴스레터를 발송합니다.

  • 구독자와 관계 형성이 잘 되어있고 내 뉴스레터의 '팬'이 많습니다.

  • 절차에 따라 구독 신청을 정상적으로 받은 구독자에게만 이메일을 발송합니다.

스티비에서는 오픈율을 개선할 수 있는 여러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 내용에 따라 하나씩 테스트를 해보며 이메일 오픈율을 개선해 보세요.

오픈율을 높이는 방법

이메일 제목 다듬기

제목은 이메일의 첫인상입니다. 구독자가 열어보고 싶도록 호기심을 자극하는 표현을 쓰는 게 중요합니다.

  • 제목은 짧고 간결하게 작성하세요.

  • 이모티콘은 적당히 활용하되, 과도하게 쓰지 마세요.

  • 제목에 구독자의 이름 등 개인화된 메시지를 넣어 보내면 오픈 성과에 도움이 됩니다.

  • 제목을 짓기 어렵다면, AI 추천을 받아보아도 좋습니다.

같은 내용을 동일한 구독자에게 발송하더라도 이메일 제목에 따라 오픈율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팁을 참고해 여러 가지 안을 만들고 테스트해 보세요.

A/B 테스트 활용하기

오픈율과 상관 관계가 높은 몇 가지 변수를 설정하고, 이 변수를 계속해서 수정하며 내 구독자에게 적합한 방식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메일 오픈율과 상관관계가 높은 요인으로 다음 세 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 이메일 제목

  • 발신자 이름

  • 발송 스케줄

스티비에서는 이 요인을 기준으로 쉽게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A/B 테스트]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발신자 이름을 친근한 이름으로 설정하기

이메일 제목만큼 발신자 이름도 오픈율에 영향을 미칩니다. 구독자가 부담 없이 이메일을 열어볼 수 있도록 친근한 이름을 설정해 보세요. (예. 스티비 둘리)

이메일 발송 시간 테스트하기

구독자 특성에 따라 오픈율이 높은 시간대는 다릅니다. 여러 스케줄로 이메일을 보내보고 어느 시간에 발송한 이메일의 성과가 더 좋았는지 확인해 보세요.

장기간 오픈하지 않는 구독자 관리하기

오랫동안 이메일을 열어보지 않은 구독자는 내 이메일을 스팸으로 신고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구독자가 직접 설정한 '스팸 필터'나 '스팸 신고'가 늘어나면, 이메일 수신 서비스(예: G메일, 네이버 메일 등)는 내 도메인에서 보내는 이메일을 전반적으로 스팸으로 판단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 경우, 실제로는 관심 있는 다른 구독에게 보내는 이메일까지 스팸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장기간 오픈 기록이 없는 구독자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주소록에서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방법으로 오랫동안 오픈하지 않은 구독자를 정제할 수 있어요.

  1. 구독자를 정제하고 싶은 [주소록]으로 이동합니다.

  2. [구독자 목록 → 필터]를 클릭합니다.

  3. [조건 → 구독자 활동 → 오픈 안 함]을 선택해 조건을 설정하고 조회합니다.

  4. [모든 페이지 선택]을 누른 뒤, [상태 변경하기 → 수신거부로 변경하기]를 누릅니다. 이 단계에서 별도의 그룹으로 지정할 수도 있어요.

* 만약, 프로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다면 [세그먼트] 기능을 활용해 자동으로 분류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어요.

오랫동안 오픈 기록이 확인되지 않는 구독자들은 별도 주소록 [그룹]으로 분류하여 따로 이메일을 보내보세요. 안부를 묻거나, 오픈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피드백을 요청하여 뉴스레터를 개선해 볼 수 있습니다.

따로 이메일을 보내도 반응이 없다면 내 이메일을 스팸 처리했거나, 이메일을 열어보지 못하는 상황일 확률이 높으므로 구독자 목록에서 정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